Information69 미국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맞고 숨진 사람이 1000명?? 미국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맞고 숨진 사람이 1,000명?? 우리나라 언론에서는 백신이 안전하고 중증의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CDC(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2월 26일까지 보고된 사례에 의하면 백신 접종 후 사망사례는 총 929건으로 약 1,000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망사례 중 30%는 백신 접종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하였으며 사망자의 20%는 심장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미국 소아 류마티스 전문의 J. 패트릭 웰런 박사는 mRNA 백신(화이자, 모더나)이 심장마비 및 기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였습니다. 또 화이자 회사의 전 부사장인 마이클 이던 박사는 백신이 불임을 비롯한 치명적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백.. 2021. 2. 26. 모더나, 화이자가 부작용이 더 심하고 위험할 수 있다? 모더나, 화이자가 부작용이 더 심하고 위험할 수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보다 모더나와 화이자의 부작용이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에 이런 얘기가 나왔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 벡터 방식입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특징 중에 감염을 일으키는 핵심 물질이 바로 스파이크 단백질입니다. 인간에게 감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특별히 배양된 아데노바이러스를 유전자 조작하여 스파이크 단백질을 가지도록 하고 이 조작된 아데노 바이러스를 체내에 주입하여 면역체계가 바이러스를 공격하면서 코로나 19 스파이크 단백질을 학습하도록 하여 항체를 형성하게 하는 원리로 일반적인 백신과 원리가 비슷합니다. 하지만 모더나와 화이자는 mRNA 방식의 백신으로 인류가 최초로 .. 2021. 2. 25. 아스트라제네카에 낙태아의 세포가 사용되었나? HEK-293 아스트라제네카에 낙태 아세포가 사용되었나? HEK-293 아스트라제네카에 낙태아세포가 사용되었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바로 HEK-293세포인데요 아시다시피 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백신으로 아데노 바이러스를 사용합니다. 이 아데노 바이러스에 돌연변이를 일으켜 코로나 19가 가지고 있는 스파이크 돌기를 가지게 만들죠 그 가운데 바이러스 배양을 위해 사용되는 세포가 바로 HEK-293 세포입니다. 이 세포는 최초로 낙태아의 신장 세포를 통해 얻어낸 것으로 빠른 증식이 특징입니다. 낙태아의 세포를 사용하여 백신을 만들었다는 것은 윤리적으로 큰 문제에 직면합니다. 왜냐하면 이 세포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죽어있는 태아에서 얻기는 거의 불가능하고 살아있는 상태에서 5분 안에 태아의 신장에서 얻어내기 때문.. 2021. 2. 24. 의료진들이 백신을 거부하는 이유는? 의료진들이 백신을 거부하는 이유는? 오는 26일부터 요양병원 접종이 시작됩니다. 일각에서는 의료진들의 백신 접종 거부 사례도 많은데요 거부하는 의료진들은 어떤 이유 때문에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접종 거부 의사를 밝힌 의료관계자들의 주장은 크게 아래와 같습니다. 백신에 대한 선택권이 없다. 바이러스 백터 방식 및 mRNA방식의 백신은 인류가 처음 시도하는 방식으로 부작용과 안정성이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부작용 발생 시 책임 부분이 불분명하다. '의료인 연합'의 김상수 한의사는 '코로나 미스터리'라는 저서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중 두 번째로 흔한 바이러스이고, 인류와 아주 친근하게 공생해온 바이러스다"라고 설명하며 "주변에 감기 환자 열 명이 있으면 적어.. 2021. 2. 23. 이전 1 ··· 14 15 16 17 18 다음